HOME 사이트맵 오시는 길
공지사항
온라인 상담
고객센터
공지사항 home > 상담센터 > 공지사항
제목 [기본] 2017년 연간 무역액 1조 달러 돌파(확정) 날짜 2017.12.18 09:35
글쓴이 동양관세사무소 조회 922

2017년 연간 무역액 1조 달러 돌파(확정)


1. 무역 1조 달러 달성 동향

□ 관세청·산업통상자원부는 ‘17년 12월 14일 14시 20분 기준으로 잠정 집계한 결과 연간 무역액 누계실적이 1조 달러를 돌파 했다고 밝혔다.


ㅇ 무역통계 작성(‘56년~) 이래 역대 최단기간 수출 5,000억 달러 돌파(11.17일), 11월까지의 연간 누계 기준 사상 최대 수출실적(’17.1∼11월 수출액 5,248억 달러로, 전년동기대비 16.5%↑) 기록 등 성과에 힘입어, ’14년 이후 3년만에 연간 무역액 1조 달러 재진입에 성공하였다.
 
□ 금년도 한국 무역은 세계 10대 수출국 중 1~9월(누적) 수출 증가율 1위(18.5%), 세계 수출 순위도 전년대비 두 단계 상승한 6위를 기록(’16년8위) 하였다.
* ’17.1∼9월 누적증가율(%) : (한국)18.5, (네덜란드)12.5, (영국)8.3, (일본)7.9, (홍콩)7.9


ㅇ 이는, 글로벌 보호 무역주의 강화, 지정학적 불안정성 등 불리한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, 타 경쟁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더욱 크다.


□ 한국의 금년 1~9월(누적) 교역액은 7,852억 달러(전년동기대비19.2%↑)로 8위 영국(7,995억 달러)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전년과 동일한 교역 순위인 9위를 유지하고 있다.


ㅇ 다만, 전 세계 교역*에서 차지하는 교역 비중은 금년 1~9월(누적) 기준 3.3%로, ‘16년도 2.8%에 비해 상승하여 최초로 3.0%대 진입 및 역대 최고 교역 비중(수출 비중도 3.6%로 역대 최고) 달성 가능성이 높다.
* 전 세계 교역은 주요 71개국(전 세계 교역의 90% 차지) 실적 기준으로, 추후 전체 국가 실적 기준으로 발표시 교역·수출 비중이 근소하게 조정될 가능성
* 역대 2위 교역 비중은 ’11년 2.9%, 역대 2위 수출 비중은 ’15년 3.2%


ㅇ 한편, 역대 무역 1조 달러에 진입했던 국가는 한국 포함 9개국*이며, ’16년 기준으로 미국·중국(3조 클럽), 독일(2조 클럽)에 이어 1조 클럽 국가는 일본·프랑스·네덜란드·홍콩·영국 순이다.
* 역대 무역 1조 달러 진입 국가(달성시기) : 미국(’92), 독일(’98), 중국(’04), 일본(’04), 프랑스(’06), 영국(’06), 이탈리아(’07), 네덜란드(’07), 한국(’11)
 

2. 주요 특징 및 평가

□ 금년 한국 무역이 선전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은, ①품목 다변화·고부가가치화, ②품목·지역별 고른 성장세, ③남북 교역축 신흥시장 성장 등으로 분석되어 과거 대비 질적으로도 진전된 성과를 보였다.


< 품목별 >

□ 13대 주력품목 수출비중이 과거 마지막으로 1조불을 달성한 ‘14년 80.6%에서 ’17.1∼11월(누적) 78.3%로 하락하여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집중도가 완화되었다.
* 13대 주력품목 : 반도체, 일반기계, 석유화학, 선박, 자동차, 철강, 석유제품, 디스플레이, 차부품, 무선통신기기, 섬유, 컴퓨터, 가전
* 13대 주력품목 수출비중(%) : (’11)82.1, (’12)81.2, (’13)80.6, (’14)80.6, (’17.1∼11)78.3


ㅇ 특히, 8대 신산업(수출비중:’14년8.4%→’17.1~11월12.6%)과 유망 소비재(수출비중:’14년3.5%→‘17.1~11월4.7%)의 수출비중이 각각 증가하는 등 품목 다변화와 고부가가치화가 확대되었다.
* 8대 신산업(차세대반도체·차세대DP·에너지신산업·바이오헬스·항공우주·첨단신소재·전기차·로봇) 수출실적(’17.1∼11, 태양광 제외) : 637.0억불로, 전년동기대비 27.3%↑
* 유망 소비재(생활용품·농수산식품·화장품·의약품·패션의류) 수출실적(’17.1∼11) : 245.4억불로, 전년동기대비 15.1%↑


□ 한편, 기존 주력품목 내에서도 일반기계 수출 2위 및 ’17.1∼11월(누적) 기준 역대 최대 실적(441억불) 달성, 석유화학 수출 10대 주요지역*에서 모두 14% 이상(’17.1~10월) 증가, MCP가 DRAM에 이어 반도체 세부품목 수출비중 2위로 부상하는 등 품목별로 고르게 선전하였다.
* 10대 주요지역 : 중국, 아세안, 미국, EU, 베트남, 중남미, 일본, 중동, 인도, CIS
* 주요품목 수출액·증가율(’17.1∼11, 억불·%) : (반도체)882.7(56.6), (일반기계)441.5(10.1), (석화)405.5(23.7), (선박)398.1(24.2), (자동차)387.4(8.7), (철강)316.5(21.0)


< 지역별 >

□ ’17.1∼11월(누적) 기준 10대 주요 지역 중 9개 지역(중동 제외)의 수출이 모두 증가하여 지역별 편차 없이 수출이 성장하는 가운데, G2(中·美) 수출비중이 ‘14년 37.6%에서 ’17.1∼11월(누적) 36.5%로 하락하는 등 수출 지역의 다변화도 진전되었다.
* G2(중국·미국) 수출비중(%) : (’11)34.3, (’12)35.2, (’13)37.2, (’14)37.6, (’17.1∼11)36.5


ㅇ 특히, 아세안이 ‘11년부터 2위 수출지역으로 자리매김하는 등 최근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이 활성화(‘17.1~11월 수출액1,575.9억 달러로, 전년동기대비 19.4%↑) 되고 있다.
* 신흥시장(아세안·중남미·중동·인도·CIS) 수출비중(%) : (’15)29.4→(’16)29.2→(’17.1∼11)30.0


□ 또한, 주요 FTA 발효국*에 대해서도 수출 품목 다변화가 확대되고, 수입시장 내 우리나라 수출 품목 점유율도 상승하는 추세이다.
* 주요 FTA 발효국(발효연도) : 우리나라 교역비중 5% 이상 국가(지역)인 중국(’15), 아세안(’07), 미국(’12), EU(’11), 베트남(’15) 분석


ㅇ 주요 FTA 발효국에 대한 1천불 이상 수출 품목수가 각각의 지역별 FTA 발효 직전연도 대비 최근 상승 추세이고, 발효국별 수입시장 내 우리나라 수출 품목 점유율도 증가세롤 보이고 있다.
* 주요 FTA 발효국 1천불 이상 품목수 현황(발효직전연도→’16년, 개) : (중국)6,445→6,432(△0.2%), (아세안)5,682→7,261(28.9%↑), (미국)5,125→5,656 (10.4↑), (EU)4,800→5,096(6.2%↑), (베트남)5,082→5,624(11.8%↑)
* 주요 FTA 발효국 수입시장 점유율(발효연도→가용한최신통계기준시점,%) : (아세안)5.0→’16년7.2, (미국)2.6→’17.1∼8월3.1, (EU)0.8→’17.1∼7월1.0

목록 쓰기